학회지(검색)


pISSN: 1976-7986


스포츠인류학연구 , Vol.19 No.1. (2024)
pp.95~120

DOI : 10.59433/kaosa.2024.19.1.006

세대문화 안에서 e스포츠의 함의

김영선

(경성대학교 e스포츠연구소 학술연구교수)

황옥철

(경성대학교 스포츠건강학과 교수)

이 글의 목적은 한국사회에서 e스포츠의 형성과정 안에서 존재하고 있는 공통점과 세대문화의 갈등과 화해의 측면을 살펴보고 현재 게임 및 e스포츠의 인식변화 양상을 통해 향후의 과제를 진단하는 데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한 연구방법으로는 K대학교 e스포츠연구소에서 진행되 어왔던 중, 고등학생, 대학생, 학부모와의 심층인터뷰 녹취록 자료와 관 련선행연구들을 중심으로 그 특징들을 분석하고 현재 변화하고 있는 게 임 및 e스포츠에 대한 인식을 재발견하기 위하여 관련 기사 및 영상자 료, 심층인터뷰 인용문 등을 활용하여 e스포츠 문화연구의 필요성을 강 조하였다. e스포츠의 열풍과 게임세대의 성장은 e스포츠문화의 지속가능 성과 디지털 시대의 미래문화로서의 가능성을 갖는다. 일상적인 생활e스 포츠로부터 전문e스포츠의 영역에까지 스포츠 정신이 실현될 수 있는 장(場)을 형성해주는 것은 우리 시대의 과제이다. 또한 e스포츠 경기를 하는 사람과 보는 사람들 모두가 즐거운 플레이 경험과 전파를 통해서 온라인 가상공간 안에서도 선한 영향력의 윤리적 가치를 공유할 수 있 는 기반이 될 것이다.

The Implications of eSports in Generational Culture

Kim, Young-Seon

Hwang, Ok-Chul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eSports culture within the changing patterns of generational culture that exist in the formation process of eSports in Korean society. As a research method for this purpose, two aspects of generational culture conflict and reconciliation will be examined, focusing on transcripts of in-depth interviews with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college students, and parents in the previous studies. In addition, in order to rediscover the changing perception of games and eSports, the necessity of eSports culture research is emphasized by using related articles, video data, and in-depth interview quotes. The passion for eSports and the growth of the game generation have the sustainability of eSports culture and the potential as a future culture for all generations. This is a task of our time that forms a place where the spirit of sports can be realized from everyday eSports to professional eSports, and it will be the basis for everyone to share the ethical value of good influence in the online virtual space through enjoyable play experiences and propagation.

Download PDF list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강원대학길 1 강원대학교 백령스포츠센터 B006호
학회비 계좌번호 : 우리은행 141-08-130174 김지훈(사무국장)
Copyright © Korean Society For Sport Anthropology. All rights reserved.